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반상식] 우리가 일상으로 먹는 쌀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by 선한10억부자 2025. 1. 29.

 

우리가 일상으로 먹는

쌀에 관한 이야기 ^^

 

 

안녕하세요

 

 

 

설날입니다^^

떡국 다들 드셨지요?

 

설날의 대표 음식은

뭐니머니해도 떡국이지요~^^

 

 

 

끓이기도 간편하고

평소에도 한끼 뚝딱 먹을 수 있는

떡국!! ^^

 

 

 

사실 설날에 먹는 떡국이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는

문헌 자료가 없어서

정확한 유래는 알수 없다고 해요~

 

 

 

"조선상식문답" 을 보면

예전에 신년 제사 때 음복 음식을 먹었는데

거기에서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이 유래되었다고

설명되어 있다고 합니다^^


최남선이 광복 직후 국민에게 국학 상식을 계몽하기 위해 『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과 더불어 편찬한 책.

 

 

조선상식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URL 복사 집필자 윤광봉(尹光鳳) 연관 표제어 굴렁쇠 굴리기놀이 둥글게 만든 굵은 철사나 자전거 테, 둥근 통의 테 등을 채를 이용해 굴리면서 노는 놀이. 관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불을 보고 즐기는 놀이. 스무고개 말놀이의 일종으로 감춰진 답을 20회의 질문을 통해 답을 알아내는 놀이. 안동 차전놀이 ‘동채’라는 놀이 기구를 가지고 벌이는 편싸움 형식의 대동놀이. 두꺼비집 짓기놀이 물기가 있는 흙이나 모래를 손등 위에 얹어 두드리다가 손을 조심스럽게 빼내어 굴 같은 모양의 집을 만드는 놀이. 쌍륙 두 사람 또는 두 편이 열 다...

folkency.nfm.go.kr

 


우리 이웃님들께서는

쌀에 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쌀은 다들

우리의 주식으로 알고 계실거에요^^

 

 

 

조선 정조 때 기준으로

서울 한 해동안 100만석의 쌀이 필요했지만

60만석이 부족했다고 합니다.

 

 

부족한 쌀은 지방에서 사서

먹었다고 하네요^^

 

 

자연스럽게 쌀이 상품화 되기 시작했고

쌀을 파는 상인도 나타났을 겁니다.

 

 

 

그때와 달리

요즘 쌀 소비량은 어떨까요?

 

 

 

40년 전으로 돌아가 볼까요?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84년 약 130kg 이었습니다.

 

 

그후 40년간 계속 1인당 쌀 소비량은

계속 줄어들었답니다~

 

 

 

30년 전인 1994년에는

1인당 연간 쌀을 108.3kg

소비하였습니다^^

 

 

 

30년 전과 비교하면

약 50% 절반 감소되었네요 ㅠ

 

 

 

2024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5.8kg 이었다고 하네요^^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여러분들은 주식으로 어떤걸 드시나요?^^

 

 

최근 제가 먹은 식사 사진입니다 ㅋ

 

여러분들은

어떤 식사를 즐겨 드시나요?


요즘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습관을 보면 서양식으로 많이 바뀐 듯한

모습을 자주 보게 된답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쌀 소비량도 줄어들 거에요~~

 

 

 

밥 중심 문화에서

다양한 여러 음식을 먹는 문화로

바뀌었지요 ㅎㅎ

 


아래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조사한 내용을 가지고

양곡소비량조사와 가공용 쌀 소비량

통계청 발표인데요

 

 

 

밥에서 다른 음식으로

바뀐것을 볼 수 있는데요

 

 

 

1인당 보리쌀, 잡곡, 밀가루 같은

다른 양곡의 소비량이

2024년 8.6kg 인데요

 

 

2023년에 비해 0.4kg 증가하였고

이 수치는 약 4.9% 증가한 수치입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쌀을 덜 먹고 있고

 

 

대신 다른 양곡을

많이 찾고 있다고

하는 걸 알 수 있답니다^^

 

2024.01.26 12:00:00 식량정책관 전략작물육성팀

 

통계청이 1월 26일 발표한 「2023년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2023년 가구 부문의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kg이며 이는 전년 56.7kg 대비 0.3kg(0.6%) 감소한 수준이다.

 

식습관 변화 등으로 쌀 소비량은 감소하였으나, 최근 3년 감소율은 0.9%로 소비량 감소 추세*는 완화되고 있다.

 

* (소비량 감소율) (‘19) 3.0 → (‘20) 2.5 → (’21) 1.4 → (‘22) 0.4 → (’23) 0.6

 

 

코로나19 이후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사회활동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결식이 감소하였고, 밀키트(탕류·반찬류 등) 시장 확대 등에 따른 집밥 소비가 증가하면서 최근 쌀 소비량 감소폭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2023년 사업체 부문의 가공용 쌀 소비량은 총 817천톤으로 2022년 691천톤 대비 126천톤(18.2%) 증가하였다.

 

업종별로는 과자류, 곡물 가공품, 장류, 주정용 등의 수요가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하였고, 면류(△13.6%), 기타식사용조리식품(△10.0%) 수요는 감소하였다. 특히 떡류는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일상회복 후 행사 등이 증가하고 최근 떡볶이 열풍으로 떡볶이떡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 떡류 쌀 소비량 : (’20) 159천톤 → (‘21) 177 → (’22) 185 → (‘23) 214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쌀소비량

#연간쌀소비량

#쌀얼마나드세요

#주식쌀